고등학교1학년 기술

1-2 건설 기술은 어떻게 발달해 왔는가?

우리별가온 2010. 8. 23. 21:42

Ⅳ. 건설 기술의 기초

 1-2 건설 기술은 어떻게 발달해 왔는가?


P173  학습준비활동     

역사 속의 건설 구조물

  역사 속에 등장하는 건축 구조물과 토목 구조물을 각각 써 보고, 그 용도와 특징을 모둠별로 발표해 보자

① 건축 구조물

 ㉠ 피사의 사탑

  용도 : 지금으로부터 약 800년 전 이탈리아 피사의 주민들은 아름다운 종탑을 세우기로 했다.

  특징 : 현재 수직선에서 약 430cm 정도 남쪽으로 기울어 있는데 매년 조금씩 더 기울어지고 있다.


 ㉡ 무량수전

   용도 : 부석사의 주 불전으로 아미타여래를 모신 전각이다.

   특징 : 우리나라 현존하는 건물 가운데 두 번째로 오랜 된 것이다.


 ② 토목 구조물

  ㉠ 만리장성

    용도 : 진의 강력한 통일 제국 체제가 낳은 상징적인 건물이며, 북방 유목 민족들의 침입에 대처하기 위해 지어졌다.

    특징 : 춘추 전국 시대에 지어 지기 시작한 만리장성은 2000여 년의 역사를 지니고 있으며, 그 길이가 5,000km에 이른다.

  ㉡ 의림지

    용도 : 용두산 남쪽에 자리 잡은(충청북도기념물 제 11호)는 삼한 시대에 축조된 우리나라에서 가장 오래된 저수지.

    특징 : 호반 둘레 2km, 만수면적 151,470m2, 저수량 6,611,891m3, 수심 8~13m로 본래 이름은 “임지”라 했다.


[1] 원시 시대의 건설

  ① 생활환경의 변화 : 자연환경과 야생 동물들의 위협으로부터 자신을 보호하기 위해 천연 동굴과 같은 자연 구조물을 이용하였다. 그러다가 문명이 발달하고 농경을 시작하면서 움집과 같은 원시형 주거 생활을 하였다.

  

② 재료 및 구조 : 진흙과 초목을 사용한 원추형, 장방형 등이 있다.  

     ⇒ 이들 공간은 기능이나 남녀 구분에 따라 공간을 나누어 사용 했던 것으로 보인다.


[2] 고대의 건설

  ① 경향 및 특징 : 종교적 · 정치적 권위를 나타내는 대형 건축물을 건설, / 공공 건축물 등장, 주로 토목 구조물과 계획도시를 건설하였다.⇒ 도로, 상 · 하수도, 성곽, 농업 수리 시설, 하천 치수 시설 등 많은 인력을 동원하여 건설하였다.

  ② 재료 : 목재, 석재, 시멘트 등을 사용

  ③ 구조 : 벽돌을 이용한 조적식 구조와 목재 · 석재 등을 이용한 가구식 구조가 발달하였다.

  ④ 기구 : 지렛대, 도르래, 바퀴 등의 기구를 사용하여 대형 건설 공사를 가능하게 했다. 


[3] 중세의 건술 기술

  1. 중세 :  정치 및 종교적 상황의 변화에 따라 건설 활동이 이루어졌으며 차차로 권위적, 상징적인 것에서 실용적인 건설 구조물을 만드는 방향으로 발전하였다.   

  






2.  근대

   ① 경향 및 특징 : 실용적인 구조물이 많이 건설되었으며, 건축 영역이 확대되었고, / 점차 대형화 · 고층화되기 시작하였다.

   ② 재료 : 유리, 철강재, 철근, 콘크리트

  ③ 구조 : 철골 구조, 철근 콘크리트 구조와 같은 새로운 구조가 발달하였다.



[4] 현대의 건설

  ① 경향 및 특징 : 건설 규모의 대형화 · 다양화, 기능의 복잡화 / 시공의 기계화, 부재의 표준화,  건설 활동의 전문화 · 대량 생산화가 이루어졌다.

  ② 재료 : 고강도 철근, 고강도 유리 등

  ③ 구조 : 철골 구조, 입체 트러스, 경량 골조 돔과 같은 새로운 구조가 발달하였다.

  ④ 건축 설비의 발달 : 공기 조화 설비, 고속 엘리베이터, 방재 설비, 소방 설비, 통신 설비 등과 같은 건축 설비 분야가 발달하였다.

        


[5] 미래의 건설

 ① 경향 및 특징

   · 건축물의 이용과 관리가 자동화할 것이다.

   · 부재의 규격화, 모듈 단위 표준화로 생산 구조가 고도화 · 전산화될 것이다.   

   · 지하, 해저, 우주 등 건설 장소가 다양해질 것이다.

   · 리모델링 기술이 발전하여 건설 구조물 재활용이 늘어날 것이다.

  ② 재료 및 구조의 발달 : 재료는 고성능 · 고품질 · 다양화할 것이며,

                          / 고층화 · 대형화가 더욱 가속화할 것이다.


P 175 우주 공간에는 어떤 건설 구조물을 지을 수 있을까?

  1986년 2월에 미르 우주 정거장의 핵심 모듈을 지구 궤도 위에 올려놓았다. 그 후 14년 동안 미르 우주 정거장은 지구를 약 8만 3천 5백회 돌면서 다가올 우주 시대에 대비한 많은 실험을 수행했다. 미르 우주 정거장에는 구소련과 미국의 우주인들 뿐만 아니라 세계 10여 개 국가의 많은 우주인들이 머물면서 우주 시대를 준비해 왔다.

  현재는 지구 궤도 위에 우주 정거장을 설치해 놓았고 이를 발판으로 휴양 시설, 생산 시설, 연구 시설, 주거 시설 등의 건설 구조물이 우주 공간에 세워질 것으로 예상된다.


      



형성평가

 1. 현대 건설 기술의 특징으로 불 수 없는 것은? 3

 ① 구조물의 거대화  ② 구조물의 고층화  ③ 시공의 수동화 

 ④ 부재의 표준화    ⑤ 건설의 전문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