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기술의 발달 과정
[1] 제조 기술의 발달
* 제조 기술 : 인간에게 유용한 제품을 만드는 수단이나 활동
(가) 도구의 발달
1) 도구의 사용
가) 구석기 시대 (50만 년 전)
① 돌을 깨어 사용(뗀 석기 ; 타제석기 ; 돌도끼, 돌칼 등)
② 불의 이용
③ 활을 도구로 구멍을 뚫거나 불을 만듬
나) 신석기 시대 (1만 년 전)
① 돌을 갈아서 사용(간 석기 ; 마제석기 ; 돌쟁기, 돌낫, 맷돌 등)하였고, 그 후에 구멍을 뚫고 나무 막대나 짐승의 뼈로 만든 자루를 끼워 사용
② 토기 사용
③ 기원전 2~3천 년 원시 맷돌 사용
2) 금속의 이용 : 구리→청동→철
가) 불을 다루는 과정에서 금속을 녹이는 기술 개발
나) 약 5000년 전에 구리를 발견
※구리를 철보다 먼저 사용한 이유 : 구리의 녹는점(1083℃)이 철의 녹는점(1539℃)보다 낮기 때문
다) 청동 발명 (구리+주석)
라) 철의 사용 : 우리나라에서는 기원전 4세기 이후부터 제철 기술이 사용됨
3) 손 작업에 익숙한 사람들에 의해 도구가 더욱 개량됨
(나) 기계의 발달
1) 동물과 인간의 힘 이용(고대 약 2000년전)- 나사, 지렛대, 회전운동기구 등
2) 자연력 이용(중세) - 수차(제분용 맷돌, 제철용 풀무), 풍차(광산의 환기 장치 등
3) 증기 기관 이용 (18세기 후반)
가) 산업 혁명 : 18세기 후반 영국에서 일어남
나) 증기 기관 : 제임스 와트가 발명
다) 방적기와 방직기 사용 - 몇 배의 능률 향상
4) 산업 혁명의 영향
가) 공장에서 임금을 받고 일하는 근로자가 생겨남
나) 농사를 짓던 많은 사람들이 도시로 옮겨 가기 시작함
다) 가내 수공업 → 공장제 공업 : 대량 생산이 가능해짐
5) 가솔린, 디젤 기관 - 19세기 중기
6) 컨베이어에 의한 대량 생산 체제(포드)
(다) 우리 나라에서의 기계 발달
1) 삼국 시대 때 제철 기술의 발달로 기계 제작 가능
2) 5~6세기에 수차(물레방아)와 풍차 제작하여 사용
3) 앙부일귀(해시계), 자격루(물시계) : 조선시대 장영실이 발명
4) 신기전 : 세계 최초의 로켓 병기
5) 기중기(성 쌓는 기계 장치) : 정약용이 고안
[2] 건설 기술의 발달
(가) 건설 기술 : 인간이 생활을 영위하는데 필요한 구조물을 만드는 수단이나 활동
1) 건축 : 생활에 필요한 공간 제공 - 주택, 학교, 병원, 상점, 공장 등
2) 토목 : 자연 지형을 개조 - 도로, 항만, 댐, 상·하수도 등
(나) 고대의 건설 기술
1) 원시 시대 : 천연 동굴→움막→벽과 지붕이 있는 집
2) 이집트 : 흙 벽돌로 지은 집, 피라미드
3) 그리스 : 신전
4) 로마 : 경기장, 도로, 수로, 다리 등의 실용적 건축물
5) 중국(진) : 만리 장성
6) 우리나라 : 탑, 사원 건축, 온돌 이용(고려 시대에 널리 보급), 수원성 축조
(다) 현대의 건설 기술
1) 새로운 건설 재료와 구조 개발
가) 건설 재료 : 철, 유리, 시멘트, 플라스틱 등
나) 건축 구조 : 철골 구조, 철근 콘크리트 구조 등
2) 거대한 댐, 교량, 항만, 고속도로 건설과 아파트, 조립주택 등장
[3] 통신 기술의 발달
(가) 통신 기술 : 개인이나 집단이 서로 정보를 주고 받는 수단이나 활동
(나) 원시 시대의 정보 교환 : 얼굴 표정, 몸짓, 동물 소리 흉내, 그림, 연기, 목소리 등 → 언어 발달
(다) 문자, 인쇄 기술의 발달
1) 문자 발달 : 간단한 그림→상형 문자, 표음 문자
2) 인쇄 기술의 발달
가) 목판 인쇄술 - 무구정광 다라니경(8세기), 고려의 팔만대장경
나) 금속 활자 인쇄술 - 상정고금예문(1234), 직지심경(1377), 쿠텐베르크의 성경 인쇄
(라) 봉수 제도의 발달 : 낮에는 연기, 밤에는 횃불 이용
(마) 전신과 전화의 발달
유선 전신기(19세기 초 미국의 모스)→전화기(미국의 벨)→무선 전신기(19세기 후반 이탈리아의 마르코니)→카폰, 휴대폰, 화상전화기, 팩시밀리, PC통신
(바) 방송과 위성 통신의 발달
1) 전자 부품의 발달 : 2극 진공관→3극 진공관→트랜지스터
2) 라디오 방송(1920), 텔레비젼 방송(1936)
3) 인공 위성을 통한 위성 통신(1962)
4) 미래의 통신 기술 : 종합정보통신망(ISDN), 광통신
[4] 수송 기술의 발달
(가) 수송 기술 : 사람이나 물건을 한 곳에서 다른 곳으로 이동시키는 수단이나 활동
(나) 육상 수송의 발달
1) 사람이나 동물의 힘 이용
2) 수레 바퀴의 발명 (BC2500년 메소포타미아) : 인류의 가장 훌륭한 업적 중의 하나
3) 증기 기관을 이용한 기차·자동차
1769증기자동차, 1787증기선(휘치), 1804증기기관차(트레비딕), 1807양쪽노를 단 증기선(풀턴), 1825증기 기관차 실용화(스티븐슨), 1839프로펠러 증기선(에릭슨)
4) 가솔린 자동차(1885, 벤츠)
5) 디젤 자동차(1892, 디젤)
6) 자동차의 대량 생산, 자기 부상 열차
(다) 수상 수송의 발달
1) 노와 돛을 이용한 배 - BC2500, 이집트
2) 나침반 이용 - 중세, 3개의 돛대에 여러 폭의 돛을 달아 원하는 방향으로 항해하는 범선
3) 증기선(18세기 후반), 대형 철선(19세기 후반)
(라) 공중 수송의 발달
1) 기구(18세기말), 글라이더(19세기말)
2) 동력 비행기 -1903, 미국의 라이트 형제
3) 프로펠러 추진식→제트 추진식→초음속 비행기→인공위성 개발(1957, SPUTNIK)→유인 우주선(1969, APOLLO 11호)
'인간과 기술' 카테고리의 다른 글
3. 자원과 환경 (0) | 2011.02.10 |
---|---|
1. 생물 기술의 이용 (0) | 2011.02.08 |
1. 기술의 발달 (0) | 2011.02.08 |